2024년 귀속분 배달 앱 매출 신고 방법 변경



2024년 귀속분 배달 앱 매출 신고 방법 변경

2024년부터 배달의민족, 요기요, 쿠팡이츠 등 주요 배달 앱의 매출 신고 방법이 변경되었습니다. 이 변화는 부가가치세 신고 시 적용되는 사항으로, 많은 사업자들이 새로운 방식을 숙지해야 합니다.

 

👉 ✅ 상세 정보 바로 확인 👈

 

부가세 신고의 중요성

부가세 신고의 개념

부가세 신고는 사업자가 매출 세액에서 매입 세액을 차감하여 납부해야 할 세액을 신고하는 과정입니다. 이 과정에서 정확한 매출 집계가 필수적입니다.



신고 방법의 변화

2024년부터는 각 배달 앱의 매출 집계 방법이 달라져, 기존 방식으로 신고할 경우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에 따라 새로운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👉 ✅ 상세 정보 바로 확인 👈

 

배달의민족 매출 신고 방법

기존 방식

  • 기타매출: 건별
  • 배민만나서결제 카드: 합산 금지
  • 배민만나서결제 현금: 건별
  • 카드 매출: 합산 금지
  • 현금 매출: 합산 금지

변경된 방식

  • 기타매출: 카드 과세로 변경
  • 배민만나서결제 카드: 합산 금지
  • 배민만나서결제 현금: 건별
  • 카드 매출: 합산 금지
  • 현금 매출: 합산 금지

이 변경으로 인해 신용카드 발행세액공제를 1.3% 더 받을 수 있습니다. 이제는 전자금융업 등록 없이도 공제를 받을 수 있으니,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
요기요 매출 신고 방법

기존 방식

  • 온라인신용카드: 카드 과세
  • 온라인휴대폰결제: 건별
  • 온라인기타: 건별
  • 현장신용카드: 합산 금지
  • 현장현금: 건별

변경된 방식

  • 온라인신용카드: 카드 과세
  • 온라인휴대폰결제: 카드 과세
  • 온라인기타: 카드 과세
  • 현장신용카드: 합산 금지
  • 현장현금: 건별

요기요의 경우, 현장현금 매출만 건별로 잡고 나머지는 카드 과세로 처리하여 신용카드 발행세액공제를 누릴 수 있습니다.

쿠팡이츠 매출 신고 방법

기존 방식

  • 신용카드매출: 카드 과세
  • 현금영수증매출: 합산 금지
  • 기타매출: 건별
  • 상점부담할인금액: 합산 금지

변경된 방식

  • 신용카드매출: 카드 과세
  • 현금영수증매출: 합산 금지
  • 기타매출: 카드 과세
  • 상점부담할인금액: 합산 금지

쿠팡이츠 또한 기타매출을 포함하여 모두 카드 매출로 처리하고, 신용카드 발행세액공제를 적용하면 됩니다.

땡겨요 매출 신고 방법

기존 방식

  • 카드매출 합계: 카드 과세
  • 현금성매출 합계: 건별
  • 기타매출 합계: 건별

변경된 방식

  • 카드매출 합계: 카드 과세
  • 현금성매출 합계: 카드 과세
  • 기타매출 합계: 카드 과세

땡겨요는 전체 매출을 카드 과세로 처리하고, 신용카드 발행세액공제를 적용하면 됩니다.

부가세 신고 시 유의사항

  1. 정확한 집계: 각 배달 앱의 매출을 정확히 파악하여 신고해야 합니다.
  2. 프로그램 업데이트: 회계 프로그램이 최신 버전인지 확인하고, 필요한 업데이트를 진행해야 합니다.
  3. 홈택스 활용: 홈택스를 통해 신용카드 매출을 조회하여 정확히 신고합니다.

자주 묻는 질문

질문1: 부가세 신고는 어떻게 하나요?

부가세 신고는 매출 세액과 매입 세액을 정확히 계산하여 홈택스에 신고합니다.

질문2: 신용카드 발행세액공제는 어떻게 적용하나요?

신용카드 매출로 집계된 금액에 대해 1.3%의 세액공제를 적용받습니다.

질문3: 배달 앱 별 매출 신고 방법이 모두 다른가요?

네, 각 배달 앱의 신고 방식이 다르므로 반드시 확인 후 진행해야 합니다.

질문4: 부가세 신고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?

신고 시 정확한 매출 집계와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중요합니다.

질문5: 세무사에게 문의할 때 어떤 내용을 준비해야 하나요?

매출 내역과 신고 방식에 대한 변경 사항을 정리하여 문의하면 도움이 됩니다.

이번 변경사항을 잘 활용하여 부가세를 절감하고 정확한 신고를 진행하시길 바랍니다.

이전 글: 세종시 전월산 캠핑장: 가족과 함께 즐기는 완벽한 캠핑